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육감 직선제 그리고 교육자치의 변화와 진화

by 공무원 최신소식 2023. 9. 19.

교육감 직선제 그리고 교육자치의 변화와 진화

교육감 직선제와 교육위원회의 형성과 변화

대한민국에서는 2007년 1월 1일 지방교육자치법의 일환으로 교육감 직선제가 신설되었으며, 2006년 개정된 이 법은 특히 교육감 직선제와 시, 도의회 상임위원회로의 교육위원회 전환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제도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주민들이 교육감을 선출하는 직선제는 2005년 4월 의원들이 제안한 결과로, 선거 전 과정에서의 갈등, 선거에서의 주민대표성 부족, 정치적 입장에 따른 선거운동에 대한 우려, 학교운영위원회의 정치화 등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와 동시에 교육위원회를 시의회 상임위원회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의사결정을 효율화하고 교육, 예술 분야의 이중적인 심의, 의결 과정을 지양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기관 간의 갈등을 방지하고 지역의 교육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위원회의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한 것입니다. 교육감 직선제는 2007년 2월 부산시 교육감 선거에서 처음 적용된 후 2010년 동시지방선거 때 모든 교육청으로 확대되었으나, 교육위원회의 상임위 전환은 2014년 6월까지 4년간 지속되었습니다. 교육감 직선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2014년 교육상임위원회가 폐지되면서 직선제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비판이 거세지고 있는데, 이를 폐지하자는 주장도 있지만, 지방교육자치의 맥락에서 직선제와 교육위원회 전환이 함께 도입된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2년 교육감 선거와 교육자치의 진전

2022년 교육감 선거는 몇 가지 중요한 측면과 과제를 드러냈는데, 이번 선거는 후보자를 알 수 없고 공약이 불분명한 등 투명성이 결여된 것이 특징이어서 비판을 받았습니다. 주요 비판 중 하나는 이번 선거가 알려진 후보의 부재와 공약으로 인해 '검은 선거'를 방불케 했다는 점인데, 이는 선거 자체에 대한 평가를 넘어 지방교육자치에 미칠 수 있는 결과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정당공천제, 러닝메이트제 도입, 시, 도의회 또는 도지사의 개입 등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대안들은 교육의 자주성을 훼손할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다른 지방선거의 경우 유권자들이 구체적인 공약을 알지 못해도 정당을 지지할 수 있지만, 교육감 후보는 정당이 없어 유권자들이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선택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2022년 교육감 선거에서는 일부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는데, 교육감 선거에서 무효표가 감소하는 추세가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거 과정이 개선됨을 시사합니다. 요약하면, 2022년 교육감 선거는 투명성과 정치적 중립성과 관련된 도전들을 제기하였지만, 현직 재선율의 변화, 무효표 감소, 선거 역학의 진화, 보수 단일후보가 진보후보에게 미치는 영향 등 주목할 만한 발전들도 보여주었다는 점입니다.

우리나라 교육자치의 진화와 역사

1949년 교육법에 규정된 우리나라의 교육자치는 오랫동안 교육위원회와 교육감 중심으로 이루어져 교육의 전문성과 고유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대두되었으나, 이러한 교육자치는 1961년 5월 16일 이후 파행되어 1991년 지방자치가 복권될 때까지 유보된 채 1991년 지방교육자치법이 제정되어 교육위원회의 재정립과 교육감의 임명으로 교육자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처음에는 교육자치 부활에 따라 시, 도의회 의원을 교육위원으로 선출하고 교육감을 교육위원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이었으나, 1998년부터 선거인이 직접 교육위원과 교육감을 선출하는 별도의 선거제도로 발전하였고, 2007년부터는 주민이 직접 지방의회 의원과 교육감을 선출하는 방식으로 확대되었으나, 2014년부터는 교육위원회가 주민이 직접 선출하는 방식으로 교육위원회가 지방의회 내 상임위원회로 전환되면서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전환은 그동안 교육자치와 조직구성 방식을 둘러싼 주요 논쟁이 이러한 틀 안에서 제도적 변화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음을 부각하고 있습니다. 현재 교육자치의 운영에 대한 비판이 있는 반면, 이러한 비판이 교육자치의 의의나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그 대신 행정적 맥락 안에서 지방자치의 보다 광범위한 진화의 일환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